3428 : 등수 찾기(ranking)
- 제한시간
- 1000 ms
- 메모리제한
- 1024 MB
- 해결횟수
- 537 회
- 시도횟수
- 1352 회
문제
KOI 본선 대회에 N명의 학생이 참가했다. 이 학생들을 각각 1부터 N까지 정수로 표현하자.
대회가 끝나고 성적을 발표하는데, 이 대회는 전체 학생의 등수를 발표하는 대신,
두 학생 A, B가 대회 본부에 찾아가면 본부는 두 학생 중 어느 학생이 더 잘 했는지를 알려준다.
둘 이상의 학생이 동점인 경우는 없다.
자신의 전체에서 등수가 궁금한 학생들은 둘 씩 짝을 지어서 대회 본부에 총 M번 질문을 했다.
여러분은 등수를 알고 싶은 학생 X와 대회 본부의 질문에 대한 답들로부터,
이 학생 X의 등수 범위를 찾아서 출력한다.
물론 이 학생의 등수는 1등, 즉 전체에서 제일 잘한 경우부터
N등, 즉 전체에서 제일 못한 경우 사이겠지만, 질문에 대한 답으로 알 수 있는 최대한 정확한 답을 출력한다.
입력형식
첫 번째 줄에 세 정수 N, M, X 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
( 2 ≤ N ≤ 105, 1 ≤ M ≤ min(N(N-1)/2, 5×105 ), 1 ≤ X ≤ N).
다음 M 줄에는 각각 두 정수 A, B가 주어지는데,
이 뜻은 학생 A가 학생 B보다 더 잘했다는 뜻이다.
같은 A, B가 둘 이상의 줄에 주어지는 경우는 없고,
입력된 값이 정확함이 보장된다.
출력형식
두 정수 U, V ( 1 ≤ U ≤ V ≤ N) 를 출력한다.
이는 학생 X의 가능한 가장 높은 등수가 U, 가능한 가장 낮은 등수가 V임을 나타낸다.
만약 학생 X의 가능한 등수가 정확하게 하나라면, U = V이다.
[부분문제의 제약 조건]
* 부분문제 1: 전체 점수 100점 중 12점에 해당하며 N ≤ 10 .
* 부분문제 2: 전체 점수 100점 중 11점에 해당하며 N ≤ 1,000, M = N(N-1)/2 .
* 부분문제 3: 전체 점수 100점 중 34점에 해당하며 N ≤ 1,000 .
* 부분문제 4: 전체 점수 100점 중 43점에 해당하며 원래의 제약조건 이외에 아무 제약조건이 없다.
입력 예5 4 1 1 2 2 3 3 4 4 5 |
출력 예1 1 |
입력 예5 3 1 2 3 3 4 4 5 |
출력 예1 5 |
입력 예5 5 1 1 3 2 3 3 4 3 5 4 5 |
출력 예1 2 |